공지사항
사용 가이드

오늘(10.17)의 금시세 및 동향 정보

발행일
2025/10/17
태그
안녕하세요, 금 조각거래 플랫폼 트레져러입니다.
2025년 10월 17일 오늘의 금시세 및 동향 소식을 전해드려요
오늘의 금시세 정보
2025년 10월 17일의 금시세입니다.
일주일 전인 10월 10일과 비교하여,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아요-!

<국내 금시세>

구분 (3.75g, 1돈 기준)
살 때
팔 때
24K 순금
902,000원 95,000 (11.77%)
791,000원 85,000 (12.04%)
18K 금
제품시세 적용·변동
581,400원 62,500 (12.04%)
14K 금
제품시세 적용·변동
450,800원 48,400 (12.03%)
백금
337,000원 19,000 (5.97%)
267,000원 15,000 (5.95%)
순은
11,970원 1,210 (11.25%)
8,120원 670 (8.99%)

<국제 금시세>

(단위: 달러/트로이온스)
일자
마지막 거래 기준 가격
대비
등락률
2025/10/17
4,372.80 (변동될 수 있음)
363.10
9.06
2025/10/10
4,009.70
금 동향 분석
지난 일주일 간의 금시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한 사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요약 : 미·중 갈등 심화와 금융 불안 확산으로 안전자산 선호 확대

1.
미·중 무역 갈등 재점화  
트럼프 대통령이 중국의 희토류 수출 통제에 대응해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미·중 무역갈등이 다시 격화됐습니다.
중국도 미국의 조선업 부활정책과 협력 중인 기업에 제재를 가하며 맞대응한 상황입니다.
이로 인해 글로벌 교역 불확실성이 커지고 안전자산 선호 심리가 확대되며 금값이 상승했습니다.
2.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 확산
미국 연방준비제도(Fed)는 10월 말 정책 회의에서 기준금리를 0.25%포인트 인하할 가능성이 높으며, 12월에도 추가 인하가 논의되고 있습니다.
親트럼프 성향의 연준 이사들 간에도 인하 폭을 두고 의견이 갈리지만, 시장은 완화적 통화정책 기조가 지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낮은 금리는 금과 같은 무이자 자산의 매력을 높이기 때문에 투자자들은 금 보유를 늘리고 있습니다.
3.
달러 약세와 금융 불안 확산
달러인덱스 장중 흐름 출처: 연합인포맥스
미국 경기 둔화 우려, 정부 셧다운 장기화, 중소은행 신용위기 조짐 등으로 달러화가 지속적으로 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이른바 ‘신용 건전성 리스크’가 부각되면서 투자자들은 금과 은 등의 실물 자산으로 피신하고 있으며, 블룸버그와 BBC는 이 이러한 금융 불안기 속에서 ‘최후의 가치 저장 수단으로 다시 주목받고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4.
주요 기관의 금값 전망치 상향 조정
중앙은행들의 꾸준한 금 매입이 상승세를 지탱하고 있습니다. 세계금협회(WGC)에 따르면 중국, 인도, 러시아 등 신흥국과 최근 지정학적 리스크 관련국 중앙은행들이 금 비중을 늘리고 있으며, 이는 금의 장기적 수요를 뒷받침합니다.
출처: 동아일보
동시에 국내에서도 골드뱅킹 잔액이 1조 5천억 원을 돌파하며 개인 투자자들의 ‘금 쏠림’ 현상이 심화됐습니다. 공급이 제한된 가운데 수요가 폭발적으로 늘어나는 추세입니다.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KRX금 투자를 복잡한 절차 없이, 소액으로도 간편하게 시작하고 싶다면! 클릭
#오늘금시세 #금살때시세 #금팔때시세 #금시세 #국제금시세 #금시세전망 #금값시세 #오늘금값 #금시세18K #금시세24K #현재금시세 #24k금시세 #18k금시세 #금 #금값 #금한돈시세 #금현물 #금테크 #금테크방법 #금투자방법 #기준금리 #연준 #금리인하 #한국금거래소 #금ETF #gldetf #10월금시세 #2025금시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