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지사항
사용 가이드

오늘(07.25)의 금시세 및 동향 정보

발행일
2025/07/25
태그
안녕하세요, 금 조각거래 플랫폼 트레져러입니다.
2025년 7월 25일 오늘의 금시세 및 동향 소식을 전해드려요
오늘의 금시세 정보
2025년 7월 25일의 금시세입니다.
일주일 전인 7월 18일과 비교하여, 어떤 변화가 있었는지 알아보아요!

<국내 금시세>

구분 (3.75g, 1돈 기준)
살 때
팔 때
24K 순금
645,000원 2,000 (-0.31%)
549,000원 1,000 (0.18%)
18K 금
제품시세 적용·변동
403,500원 700 (0.17%)
14K 금
제품시세 적용·변동
312,900원 600 (0.19%)
백금
268,000원 14,000 (-4.96%)
211,000원 11,000 (-4.95%)
순은
7,480원 90 (1.22%)
5,540원 70 (1.28%)

<국제 금시세>

(단위: 달러/트로이온스)
일자
마지막 거래 기준 가격
대비
등락률
2025/07/25
3,359.50
4
0.12
2025/07/18
3,355.50
금 동향 분석
지난 일주일 간의 금시세 변화에 영향을 미친 주요한 사건은 다음과 같이 정리할 수 있을 것 같아요

호재 요약

1.
미국 달러화 약세 조짐
미국 달러 지수(DXY)올해 상반기에만 10% 넘게 하락하며, 변동환율제가 도입된 1973년 상반기 이후 가장 저조한 실적을 기록했으며, 아직 회복하지 못함.
출처: Reuters
정치적 간섭이 확대되며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독립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고, 이는 달러화의 신뢰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
2.
무역 불확실성 존재 →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 우려
미국이 예고한 ‘상호관세’ 부과 시한8월 1일이 다가오면서 긴장감이 고조되고 있음.
일부 무역 협상이 진전을 보였지만, 한국, 중국, 인도과의 협상은 진행 중이며, 결과가 확정되지 않은 점은 여전히 불안 요소로 존재함.
이에 따른 글로벌 공급망의 재편은 전세계 무역 및 경제 성장률을 둔화시킬 수 있음.
3.
미국 금리 인하 기대감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오는 29~30일에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정책 금리의 인하를 단행해야 한다는 입장을 표함.
시카고 연방준비은행(연은) ‘오스탄 굴스비’ 총재는 “앞으로 1년 동안 기준금리가 상당히 떨어질 가능성이 크다”고 밝힘(07.18).

악재 요약

1.
주요 파트너와의 무역 협상 진전 → 무역 긴장 완화
자동차 관세 인하가 포함된 일본과의 무역 협정 타결을 발표(07.23)했고, 유럽 수입품에 15% 관세를 부과하는 유럽연합(EU)과의 관세 협상 타결 또한 임박함.
거시경제적 불확실성 일부 해소되고, 무역 환경에 대한 낙관론에 힘입어, 안전자산에 대한 수요가 줄어들 수 있음.
2.
미국의 6월 CPI(소비자물가지수)의 상승
전년 동월 대비 2.7% 상승하며 시장 예상치에 부합했으나 지난 2월 (2.8%) 이후 가장 높은 수치를 기록함.
출처: 연합뉴스
미국 관세 영향이 물가에 전이되기 시작한 것으로 해석되기도 하며, 연준의 금리 인하 기대가 후퇴할 뿐만 아니라 실제 인하 예상 시점 또한 늦춰질 수 있음.
3.
연준을 둘러싼 정치 공방의 일시적 소강
트럼프 대통령의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해임이 필요하지 않다”는 발언은, 연준의 정치적 독립성이 당장은 훼손되지 않을 것이라는 신호로 받아들여질 수 있음.
비과세 혜택이 적용되는 KRX금 투자를 복잡한 절차 없이, 소액으로도 간편하게 시작하고 싶다면! 클릭
#금살때시세 #금팔때시세 #금시세 #국제금시세 #7월금시세 #금시세전망 #금값시세 #오늘의금시세 #금시세18K #현재금시세 #24k금시세 #18k금시세 #금 #금값 #오늘금값 #금한돈시세 #금현물 #금테크 #금테크방법 #금투자방법 #금리인하 #한국금거래소 #금ETF #gldetf